지난 3월 대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인천으로 이송된 중증 환자가 한 달 동안 길병원 국가지정병상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끝에 24일 퇴원했다고 가천대 길병원이 밝혔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 연합뉴스
지난 5월 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린 강모(60·여)씨는 20일가량 입원 치료를 받고 완치됐다. 그러나 코로나는 사라졌지만 당뇨병이 악화했다. 강씨는 19일 "코로나 감염 전에 당뇨기가 약간 있었지만 운동으로 조절해왔다"며 "코로나 치료 과정에서 스테로이드제를 많이 쓰면서 당뇨를 악화시켰다고 의료진이 설명했다"고 말했다. 동국대 일산병원 오상우(가정의학과) 교수는 "스테로이드제는 혈당을 높이기 때문에 당뇨 전단계였다면 당뇨병으로 진전될 수도 있다"고 설명한다. 강씨는 결국 6월 말 코로나 완치 판정을 받았지만 바로 퇴원하지 못하고 당뇨병 때문에 사흘 더 병원에서 진료를 받았다. 코로나 완치자라는 이유로 1인실을 써야 했고 병실료에 건강보험이 안돼 80만 원을 냈다. 이뿐아니다. 폐기능이 떨어져서인지 좀 걸으면 숨이 차서 호흡기내과에서 별도의 치료를 받고 있다. 코로나 치료기간 1인 음압병실에 오래 입원해 폐소공포증과 불면증도 생겼다. 명지병원 음압 격리병실에서 의료진이 병실을 정리하고 있다. [사진 명지병원]
그는 "퇴원하고 한 달 남짓 치료비만 150만 원 정도 들었다"며 "(코로나로) 거의 죽었다가 살아났다는 생각에 '목숨 값'이라 여긴다"고 말했다. 강씨는 "코로나가 완치돼도 끝나는 게 아닌 것 같다. 특히 나이가 많으면 여러 후유증이 생기는 것 같다"며 "치료비 부담에 짓눌리는 왼치자가 적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씨는 “어떤 지인은 코로나 완치 후 열이 계속 올라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며 치료비 수백만 원을 쓰고 있다”고 귀띔했다. 현재 코로나19에 확진되면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검사 및 치료비가 전액 무료다. 하지만 코로나 완치까지만이다. 완치 후부터는 개인이 부담해야 한다. 이모(25)씨는 다른 20대 확진자와 달리 코로나19를 심하게 앓았다. 57일 입원 치료를 받았다. 이씨는 입원 3주차부터 탈모가 시작됐다. 이씨는 "6월 초 퇴원했는데 지금도 탈모로 병원을 다니고 있다"고 했다. 그는 "코로나로 입원해 있을 때는 사는 게 우선이었다. 탈모를 걱정할 상황이 아니었다"며 "그런데 완치 후에도 탈모가 계속되니 이젠 무섭다"고 털어놨다. 평소 숱이 많았던 그는 앞머리가 ㄷ자에서 이젠 M자 모양으로 변한 게 확연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탈모를 야기한 사례가 아직 보고된 게 없다. 이씨의 주치의도 코로나 스트레스 때문에 탈모가 생긴 것 같다고 설명했다고 한다. 비교적 경증을 앓는 20대 환자들은 코로나 극복 후 육체적인 후유증은 덜하지만 대인기피증, 우울감 등 정신적 후유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다고 한다. 반면 60대 이상 고령층, 기저질환이 있을수록 완치 후에도 각종 합병증을 겪는 이들이 많다. 대구의 한 고령 환자는 고혈압·당뇨병 등의 여러 가지 노인성 질환을 앓던 코로나에 감염돼 중환자실에 입원했다. 상태가 악화해 인공호흡기를 달고 중환자실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던 중 코로나 바이러스가 사라져 완치자가 됐다. 다만 코로나로 인해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로 후유증이 생겼다. 하지만 코로나 음성 판정 전까지만 환자 부담이 없었고 그 이후는 법정 본인부담금을 내야 했다.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교수는 "완치자 중에서 당뇨나 폐렴이 새로 생기거나 심해져 계속 내원을 하는 환자가 우리 병원에도 두 명 있다"며 "코로나가 7개월째인데 1~2년 경과하면서 폐섬유화(폐가 딱딱해지면서 기능이 떨어지는 증세)같은 심각한 후유장애(후유증)도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경북대병원 음압 중환자실에서의 중증 환자 진료. [사진 대구광역시]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교수도 "아직은 코로나 치료와 방역에 집중돼 있어 후유장애가 수면 위로 나오지 않았다"며 "국내 확진자가 1만 명을 훨씬 넘은 만큼 앞으로 후유장애 윤곽도 조금씩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중증일수록 약물 치료를 많이 하기 때문에 당뇨나 폐렴 등의 후유증이 많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코로나 완치자에게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완치 이후 후유증 치료에 든 법정본인부담금은 정부가 지원하기 어렵다"며 "코로나 치료 비용을 정부가 부담하는 이유는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옮기는 것을 막기 위해서인데, 후유증은 성격이 다르다"고 말했다. 5년 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감염병 사태 때도 완치 후에도 후유증을 겪는 환자가 적지 않았다. 메르스 74번 환자로 최장기 입원했던 70대 이모씨는 폐섬유화·심부전증 등 후유증으로 2년 넘게 치료를 받다가 결국 사망했다. 국립중앙의료원은 2015년 메르스 당시 생존자 148명 중 63명의 정신건강 연구결과, 54%가 1년 후에도 한 가지 이상의 정신건강 문제를 겪었고 40%가량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를 경험했다고 지난달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지난 3월 8일 대구 경북 지역에서 구급차로 양천구 서남병원으로 이송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고령의 확진자가 의료진의 도움을 받으며 병원으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메르스 직후 완치자들은 정부와 병원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도 잇따라 제기했다. 의료 전문인 방승환 변호사는 "메르스 때는 병원 내 감염이 주요 원인이 돼 사망하거나 후유장애가 생겼다"며 "감염병 방역 관리를 소홀히 한 병원과 정부의 잘못이 어느 정도 명백해 손해배상에 위자료를 요구하는 소송이 잇따랐다"고 떠올렸다. 박현 교수가 지난 3월 코로나19 투병 당시 올린 게시물. 사진 '부산47' 페이스북 캡처
“코로나19 완치 판정을 받았지만 제 몸이 아닌 남의 몸 같습니다. 생전 처음 보는 증상들이 계속 나타납니다. 증상에 적응했다 싶으면 몸이 이상하게 반응합니다. 이를 설명해 줄 사람도 없는 상황입니다.” 박현(48) 부산대 기계공학부 겸임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완치 판정을 받고 퇴원한 지 160여일이 지났다. 스페인 바르셀로나 라몬유 대학에서 마케팅 전공 교수로 있는 그는 부산대 특강을 위해 지난 2월 미국을 거쳐 귀국했다. 이후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고, 그때부터 ‘부산 47번째 환자’로 불리기 시작했다. 그는 코로나19 확진 한 달여 만에 완치 판정을 받았으나 코로나19로부터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다. 여러 후유증을 겪고 있어서다. 그가 말하는 후유증은 크게 다섯 가지다. ▶머리에 안개가 낀 것처럼 집중이 힘든 ‘브레인 포그(Brain Fog)’
▶앉아있으면 불편한 가슴 통증
▶속쓰림 증상을 동반한 위장 통증
▶보랏빛으로 변하는 피부나 건조증 등 피부 관련 질환 ▶예측 불가능한 만성피로다.
박 교수는 18일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코로나19 투병 당시 여러 증상이 좋아졌다가 나빠지기를 반복하며 롤러코스터를 타는 듯한 나날이었는데 지금도 달라진 건 없다”고 말했다.
"고통 호소하자 질본 직원은 '감기'라 했다"
박현 교수는 코로나19 후유증으로 30분 이상 집중하기 힘들어 언론 인터뷰도 고사하고 있다고 했다. 사진 '부산47' 페이스북 캡처
그는 코로나19 관련 정보가 국내에 부족한 상황이라며 자신의 투병기를 영어와 한국어 2개 국어로 적어 인터넷에 올리고 있다. ‘부산 47’이라는 페이스북 페이지도 그렇게 만들어졌다. 박 교수가 지난 17일 코로나19 후유증을 고백한 페이스북 글은 공유가 900여회 넘게 이뤄지며 화제를 모았다. 그는 “후유증으로 몸 상태가 나빠 질병관리본부(질본) 콜 센터(1339)에 전화한 적 있는데 짜증을 내면서 감기라는 답변을 들었다”며 “질본 전화나 여러 병원 방문을 통해서도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했다”고 했다.
박 교수는 “페이스북 글을 보고 나와 같은 상황에 있다는 두 명과 연락이 닿았는데 비슷한 후유증을 겪고 있다. 그들 역시 질본과 병원에서 필요한 정보를 얻지 못했다”며 “완치 판정을 받은 지 다섯 달 반이 지났지만 전혀 완치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중국 질본 발표나 미국·영국·이탈리아 등 언론을 보면 후유증 환자 관련 글이 계속 나오는데 한국은 그렇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코로나19 관련 일부 용어들이 환자들에 대한 편견을 재생산한다며 안타까워했다. 그는 ‘확진자’라는 말 대신 ‘환자’를, ‘완치자’라는 말 대신 ‘회복자’라는 말을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확진자라는 표현은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듯한 느낌을 줘 회복자에 대한 차별을 만들고, 완치자라는 표현 역시 코로나19를 한 번 앓고 나면 그만일 것 같은 감기 정도로만 생각하게 한다”는 얘기다.
18일 오후 서울 성북구 장위2동 사랑제일교회 인근 도로에서 이뤄진 합동 방역. 뉴시스
박 교수는 최근 수도권에 교회 발(發) 집단감염 사태가 잇따르며 코로나19 대유행 우려가 나오는 것과 관련해서는 “요즘도 외출 시 마스크를 안 쓰는 사람들이 꽤 많이 있다”며 “완치자라는 말에 속아 중장기 후유증을 겪는 회복자들이 많다는 걸 모르는 듯싶다”고 꼬집었다.
코로나19가 그에게 남긴 것은 무엇일까. 박 교수는 “절망과 희망을 동시에 준다”고 했다. “계속 상태가 나아지지 않으면서 강의를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내가 쌓아왔던 모든 것을 버릴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했다”면서다. 박 교수는 “최선은 결국 안 걸리는 방법뿐이다. 내가 절망에 들어가지 않도록 방어하는 게 희망인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채혜선 기자, 부산=이은지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박현 교수가 코로나19 후유증을 고백하며 쓴 글
완치 판정 받고 퇴원한 지 165일째
요즘도 계속되는 후유증 증상은 크게 5가지이다.
머리가 안개가 낀 것처럼 멍하면서 기억이 힘들고 집중이 힘든 Brain Fog가 계속 되고 있다. 조금만 집중해도 머리만 아플 뿐 아니라, 가슴통증등 다른 증상까지 심해지면서 아무것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안좋아지기도 하고, 방금 했던거나 할려고 하는 것을 기억 못하는 일이 너무 흔하다. 방금전에 비타민 약을 먹었는지도 기억 못하고, 뭘 찾을려고 구글을 열었다가도 뭘 찾을려고 했는지도 기억 못하고, 부엌에 갔다가 어 내가 왜 여기있지하는 순간도 있다. 미국 언론들보면 많은 회복자들이 brain fog 증상을 후유증으로 겪고 있다고 하고, 중국,영국 언론도 뇌질환으로 후유증을 겪는 회복자들이 많다는 보고들이 있었다.
가슴 통증은 여전히 왔다 갔다 하고 있다. 여전히 통증이 심해지면 앉아 있으면 불편해지고, 누워서 쉬어야 하지만, 누우면 또 다른 불편함이 있다. 가슴통증도 후유증으로 중국,미국,영국등 해외 언론에 많이 언급되고 있다.
배의 통증도 여전히 왔다 갔다 하고, 여전히 속쓰림 증상도 있고, 특히 맹장이 있는 오른쪽 아랫배가 가끔 아픈 증상도 여전히 왔다 갔다 한다. 위장의 통증 또한 후유증으로 중국,미국,영국등 해외 언론에 많이 언급되고 있고, 맹장과 콩팥도 최근 미국 언론에 후유증으로 나왔었다.
여전히 피부 문제가 있다. 피부가 검붉은 색으로 변했던 건 많이 나아졌지만, 요즘도 피부가 갑자기 보라색으로 변하기도 하고, 피부에 보라색 점이 생기기도 한다. 이는 혈액 및 혈관 문제일 수도 있다고 하고, 중국,미국,영국등 해외언론에 후유증으로 혈액 및 혈관문제로 회복자들이 후유증을 겪고 있다는 보고들이 있었다. 그런데, 피부색뿐 아니라 건조증도 여전히 문제이다. 물을 많이 마시고 있지만, 여전히 짧은 팔 상의나 짧은 바지를 못 입는다. 4월에 창문을 열어놓고 잠을 잤다가 피부 건조증이 갑자기 심해졌고, 5월에 짧은 팔 상의, 짧은 바지 입은 하루만에 노출되었던 부위만 피부건조증이 심해졌고, 요즘도 선풍기 바람에 조금만 노출되어도 노출된 부위만 피부 건조 증세가 나타난다.
만성피로가 예전보다는 나아졌지만,이도 여전히 좋았다가 나빴다를 반복한다. 예전에는 날 별로 좋은 날, 나쁜 날이 있었지만, 요즘은 아침에 좋았다가도 갑자기 오후에 나빠지기도 하면서 예측 불가이다. 뉴욕에 있는 미국 의사 친구는 예전부터 나의 후유증으로 신경계열 문제가 있는 것 같다고 했고, 해외언론들도 후유증으로 신경계열 문제를 보고하고 있다.
컨디션이 좋은 날은 한시간 산책으로 체력 관리를 할려고 하는데, 요즘도 마스크 안 쓰고 산책 나오는 사람들이 꽤 많이 있다. 마스크도 안쓰고 전화로 큰 소리로 잡담하면서 바로 옆으로 걸어 지나가는 사람들이 매일 적어도 1,2명은 있다. 산책때 지하철역을 지나가는데, 지하철역에서 나오는 사람중에 마스크 안 쓴 사람들도 꽤 있다. "완치자"라는 말에 중,장기 후유증을 겪는 회복자들이 많다는 걸 모르고 아직도 가볍게 여기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