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연구팀, 늙으면 흰머리 나게 하는 유전자 발견
英 연구팀, 늙으면 흰머리 나게 하는 유전자 발견
SBS 뉴스 Seoul

늙으면 머리가 세는 것은 유전자 탓이라는 사실이 확인됐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통계유전학자 카우스투브 아디카리 박사는 늙으면 흰머리가 나는 것은 IRF4라는 유전자 때문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가디언 인터넷판과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1일 보도했다.
IRF4는 모발 색깔의 결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로 알려져 왔으나 이 유전자가 노화와 함께 흰머리가 나게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는 처음이다.
브라질, 콜롬비아, 칠레, 멕시코, 페루 등 라틴 아메리카 주민 6천357명의 DNA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아디카리 박사는 말했다.
IRF4는 원래 모발, 피부, 눈의 색깔을 결정하는 색소인 멜라닌의 생산을 생산하고 저장하는 유전자이고 머리가 세는 이유는 모발의 멜라닌 결핍이기 때문에 이 유전자가 흰머리 생성에도 관여할 것으로 보고 이 같은 연구를 진행한 결과 사실로 확인됐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 유전자가 어떻게 머리를 세게 하는지를 알아낸다면 흰머리 나오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화장품을 개발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그는 전망했다.
그의 연구팀은 이 밖에 고수머리에 관여하는 PRSS53 유전자, 턱수염의 굵기와 모발의 모양을 결정하는 EDAR 유전자, 눈썹의 굵기를 관장하는 FOXL2 유전자도 찾아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전문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 최신호(3월1일자)에 발표됐다.
(연합뉴스/사진=게티이미지)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통계유전학자 카우스투브 아디카리 박사는 늙으면 흰머리가 나는 것은 IRF4라는 유전자 때문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가디언 인터넷판과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1일 보도했다.
IRF4는 모발 색깔의 결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로 알려져 왔으나 이 유전자가 노화와 함께 흰머리가 나게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는 처음이다.
브라질, 콜롬비아, 칠레, 멕시코, 페루 등 라틴 아메리카 주민 6천357명의 DNA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아디카리 박사는 말했다.
IRF4는 원래 모발, 피부, 눈의 색깔을 결정하는 색소인 멜라닌의 생산을 생산하고 저장하는 유전자이고 머리가 세는 이유는 모발의 멜라닌 결핍이기 때문에 이 유전자가 흰머리 생성에도 관여할 것으로 보고 이 같은 연구를 진행한 결과 사실로 확인됐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 유전자가 어떻게 머리를 세게 하는지를 알아낸다면 흰머리 나오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화장품을 개발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그는 전망했다.
그의 연구팀은 이 밖에 고수머리에 관여하는 PRSS53 유전자, 턱수염의 굵기와 모발의 모양을 결정하는 EDAR 유전자, 눈썹의 굵기를 관장하는 FOXL2 유전자도 찾아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전문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 최신호(3월1일자)에 발표됐다.
(연합뉴스/사진=게티이미지)
머리카락에 관한 오해와 진실

스타일의 완성은 단연 ‘헤어’다. 윤기가 흐르고 풍성한 머리카락은 모두의 로망이다. 돈 들이고 시간 투자해 꼼꼼히 관리하는 이유도 ‘헤어=자신감’이라는 공식에 동의하기 때문일 터. 그래서일까? 우리는 머리카락 앞에서 한없이 예민해지고, 머리카락을 둘러싼 갖가지 진실 공방에 귀를 펄럭이며 관심을 기울인다. 흰머리와 탈모 등 가장 관심 있어 하는 다섯 가지 오해를 파헤쳐 보았다.
관련기사
오해 하나. 흰머리 하나를 뽑으면 두세 개가 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속설은 엉터리다. 머리카락은 모낭에서 자라 나오고, 모낭은 태어나면서부터 그 수가 결정돼 있다. 따라서 머리카락이 가늘어지거나 빠져서 숱이 적어질 수는 있어도, 모낭 수가 일정하기 때문에 머리카락 개수가 크게 늘었다 줄었다 하지는 않는다. 흰머리 하나를 뽑은 자리에는 흰머리 하나가 나는 것이 진리다.
다만 머리카락을 뽑을 때 모낭과 모근이 손상돼 견인성 탈모가 일어나기도 하니, 흰머리라고 무조건 뽑지 말고 보기 싫다면 가위로 바짝 잘라 내는 편이 좋다.
오해 둘. 머리카락을 자르면 빨리 자란다?

머리카락 역시 끝부분이 아니라 두피에서 자라 나오기 때문에 끝을 잘라내는 것은 머리카락 길이 성장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커트는 머리카락을 건강하고 풍성하게 보이는 데에는 분명 도움이 된다. 오래되고 손상된 머리카락 끝 부분을 잘라냄으로써 힘 없고 가는 모발이 없어지고 아래쪽의 굵은 모발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오해 셋. 빗질을 열심히 하면 머리카락이 건강해진다?

빗으로 머리를 자주 두드리면 그 충격으로부터 모낭을 보호하기 위해 두피가 점점 두꺼워지고 딱딱해져 머리털이 잘 나지 않는 것. 게다가 두드리면서 생긴 상처가 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 빗질을 할 때 두피를 긁는 이도 있는데, 정수리 탈모나 원형 탈모에 두피를 긁는 행위는 섶을 지고 불로 뛰어드는 행위다. 빗의 쿠션을 이용해 지그시 누르는 정도의 가벼운 마사지가 좋다.
또한 빗질은 두피의 유분 생성을 자극해 머리카락에 윤기를 더해 주기도 하지만, 과도한 유분은 모공을 막아 탈모를 촉진할 수 있기에 적당한 회수와 바른 방법으로 빗질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해 넷. 검은콩을 먹으면 흰머리가 까매진다?

다만 한방에서는 간과 신장 기능이 약하고 혈액 순환이 잘되지 않으면 모발 건강이 나빠진다고 한다. 이때 검은콩이 기능을 발휘하는데, 신장을 강화하고 간 건강을 도와 파괴된 인체 조직을 빠르게 회복시킬뿐더러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해 두피까지 영양분을 전달함으로써 탈모와 흰머리를 방지한다는 것이다.
오해 다섯. 야한 생각을 하면 머리카락이 빨리 자란다?

또 한 가지 오해. 머리카락은 밤에 자는 동안 잘 자란다는 속설이 있지만, 사실은 오전 10시에서 11시 사이에 가장 빠르게 자란다. 계란노른자와 시금치, 우유, 효모, 땅콩 등이 모발 성장을 촉진한다고 하니, 머리카락이 빨리 자라기를 원한다면 야한 생각과 함께 위의 식품을 같이 섭취해 주면 한층 효과적이지 않을까 하는 짐작.
[Talk & Tip] 탈모에 관한 소문과 진실
가을은 독서의 계절, 하늘은 높고 말이 살찌는 계절, 그리고 머리카락이 우수수 낙엽마냥 떨어져 내리는 계절이다. 대한모발학회에 따르면 가을에는 봄보다 약 2배 더 탈모가 일어난다고 한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다섯 명 중에 한 명 꼴로 탈모를 고민한다고. 탈모를 부르는 생활 습관에 관한 소문, 무엇이 진실일까?
모자를 즐겨 쓰면 탈모를 촉진한다?

탈모 유전자는 대를 걸러 발현한다?

머리를 매일 감으면 머리카락이 더 빠진다?

출산 후 탈모가 대머리로 이어진다?

'▸ 즐겁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습관을 바꿀 수 있는 방법 (0) | 2020.09.14 |
---|---|
술이 인류의 성공 비결인 이유 (0) | 2020.09.14 |
황희 의원이 허위사실 유포를 넘어 제 페이스북에 아예 당직사병 실명까지 적시했군요. (0) | 2020.09.12 |
장기적인 관계에서 발기 부전을 다루는 방법 (0) | 2020.09.12 |
사회성이 높은 사람들의 6가지 습관 (0) | 2020.09.11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식습관을 바꿀 수 있는 방법
식습관을 바꿀 수 있는 방법
2020.09.14 -
술이 인류의 성공 비결인 이유
술이 인류의 성공 비결인 이유
2020.09.14 -
황희 의원이 허위사실 유포를 넘어 제 페이스북에 아예 당직사병 실명까지 적시했군요.
황희 의원이 허위사실 유포를 넘어 제 페이스북에 아예 당직사병 실명까지 적시했군요.
2020.09.12 -
장기적인 관계에서 발기 부전을 다루는 방법
장기적인 관계에서 발기 부전을 다루는 방법
2020.09.12